본문 바로가기
패턴-PATTERN

라이더 자켓 패턴

by Waves. 2020. 11. 11.
반응형

라이더 자켓 패턴제도

 

라이더 자켓은 디자이너가 원하는 실루엣에 따라 다르지만 이번 패턴은 몸에 딱 맞는 실루엣으로 제도한 패턴이다.

라이더자켓 뒤판,앞판 패턴 

라이더자켓 뒤판 제도

*뒷목은 1/8“정도 파준다. 진동깊이의 경우는 내리지 않았고, 상동은 1/8”정도 크게 했다.

*아무리 작은 옷이라도, 뒤품은 7“정도는 항상 확보해주는 것이 좋다.(아마 시간이 지나면 한국인의 체형도 커지면, 조금은 더 확보해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)

*패턴은 선도 중요하지만 그전에 앞서 사이즈가 곧 옷의 실루엣으로 나타난다. 기본 원형은 브랜드마다 다르지만 내가 알고 있는 원형에서는 1“정도 넘게 잡으면 핏한 실루엣이 나온다.

*기장이 짧은 옷이지만 패턴을 제도할 때는 힙 위치를 잡아주고, 그곳에서 다트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. 이유는 기장이 끝나는 부분에서 시작하지 않으면 밑단 둘레가 커져 어정쩡한 옷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.

*뒤 견갑골 다트를 m.p 시키는데, 원단의 밀도가 강하면, 많이 남는다. 그럴 경우에는 더 찝어도 된다.

라이더 자켓 앞판 제도

*앞판다트 잡는 분량은 뒤판보다 1/4“정도 작게 해주었고, 지퍼 있는 곳에서도 실루엣을 위해 약간 잡았다는 것이 특징이다.

*옆목은 동일하게 파주고, 앞목의 경우 도식화를 보며 얼마나 팔지 결정한다. 라이더 자켓의 경우 꽤나 많이 파준다.

*앞판 지퍼가 달리는 부분을 조심해야 하는데, 앞중심을 기준으로 반전했을 때 지퍼위치를 잘계산하여 그려야 한다. 또한 겹치는 부분의 넓이는 여자의 B.P점을 넘지 않는 것이 좋은데, 넘어버리면 옷이 만들어졌을 때 비리가 가는 현상이 씨게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.

*앞 목점에서 나간 분량에서 일정량 내려주는데, 이것은 라이더 자켓의 라펠을 넘겼을 때 모양을 고려한 것이다.

*앞판제도 실수한 것은 디자인의도를 잘못 파악한 점, 지퍼 위치와 지퍼 절개선이 만나는 곳을 깊게 생각하지 못했다는 점이다.

라이더 자켓 소매제도

*소매패턴의 경우 특이한 점은 절개선이 보이게 제도 했다는 점이다. 도식화를 봤을 때 절개선의 위치를 확인하고, 절개선의 위치만 새로 잡아주면 된다. 타이트한 옷이니 소매통은 인체의 팔통이 10“이니 2”정도의 여유를 줘서 뜨면 된다. 물론 소매부리도 평소보다 작게 한다. 주의할 점은 하바 사이즈는 꼭 확보해 주어야 한다는 것 이다.

 

*소매 제도 시 소매에 스티치 여부도 중요하다. 소매의 스티치가 소매 방향으로 있으면 이새가 많이 들어 간 것 마냥 지글지글 할 수도 있다.

라이더 자켓 완성 패턴  

완성 된 패턴으로 만든 광목 가봉이다. 문제점이 꽤나 보인다. 보통 옷은 한번에 나오는게 아니라, 1차,2차 수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진다. 옷의 잘 못된 부분을 찝어내고 고치는 능력을 길러내는게 현재의 나로써는 발전시켜야 할 부분이다. 물론 봉제 실력도... 아무튼 천천히지만 꾸준히 해나간다면 내가 머리속에 그리는 모습에 다가가 있지 않을까 싶다. 

 

라이더 자켓과 관련된 재미난 이야기도 있으니 관심 있으시다면 클릭 후 읽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. (아래 링크 누르시면 됩니다.)

2020/10/07 - [남자의옷장] - 바이커 재킷-THE BIKER JACKET

 

바이커 재킷-THE BIKER JACKET

바이커 재킷-THE BIKER JACKET 가을하면 떠오르는 옷들이 몇가지 있습니다. 바버의 왁스자켓, 가죽자켓, 트랜치코트 등등 오늘은 가죽자켓에 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. 가죽은 데님 만큼이나 매력

lee-nerd.tistory.com

2020/10/20 - [FASHION IN MOVIE] - <위험한 질주 ,The Wild One, 1953>

 

<위험한 질주 ,The Wild One, 1953>

<위험한 질주, The Wild One, 1953> 많은 가죽자켓 브랜드는 물론 미국 모터사이클의 역사를 바꾼 영화가 있습니다. 바로 말론 브란도 주연의 입니다. 이 영화는 반항적인 갱단의 리더로 등장한 ‘말

lee-nerd.tistory.com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